본문 바로가기
기타

개인연금 (연금보험,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IRP 상품별 특징, 장단점, 추천 대상)

by 후추통 2025. 3. 3.

보통 3층연금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거다.

오늘은 이 중, 3단계 개인이 가입할 수 있는 개인 연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출처:동행복권

먼저, 3층연금에 대해 설명하자면 연금은 크게 3단계로 나뉜다.

 

1단계는 나라에서 강제로 가입시켜주는 국민연금.

2단계는 근로자의 경우 회사에서 가입해주는 퇴직연금.

3단계는 개인이 가입하고 운용하는 개인연금.

 

매우 다양한 연금 상품이 있지만, 간단히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 중, 오늘은 개인연금에 해당하는 연금보험,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IRP상품별 특징, 장단점, 그리고 어떤 분들이 가입하면 좋은지 추천 대상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1. 연금보험

연금보험이란 생명보험회사에서 판매하는 보험 상품이다.

일정 기간 보험료를 내고 사망할 때까지 혹은 원하는 기간 동안 정해진 금액을 노후에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

 

연금보험의 장점

1. 원금이 보장된다. (보험사 공시이율 적용)
2. 연금 수령 시 이자소득세가 비과세된다.(10년 이상 유지 시)

  

 연금보험의 단점

1. 세액공제 혜택이 없다.

2. 보험상품이기 때문에 사업비나 수수료가 많이 들어간다.

3. 중도 해지하면 손실이 발생한다.

 

🔹 추천 대상

- 세액공제보다 안정적 연금 수령을 원하는 사람
- 장기 저축을 통해 비과세 혜택을 받고 싶은 사람
- 원금 보장 및 안전성을 중시하는 사람

 

 

 

 

  2.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보험이란 보험사가 운용하며, 납입한 보험료에 이율을 붙여주는 상품이다.

보험사, 은행, 증권사 등에서 가입할 수 있다.

 연금저축보험의 장점

1. 원금이 보장된다. (안전하다)

2. 연금 수령 시 보장성 보험을 추가할 수 있다.

3. 연간 최대 400만원 납입 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총 급여 5,500만원 이하: 16.5% 공제

   - 총 급여 5,500만원 초과: 13.2% 공제

 

**세액공제와 소득공제의 차이를 잘 모른다면?

2022.12.16 - [기타] - 연말정산 쉽게 이해하기

 

연말정산 쉽게 이해하기

연말정산은 위의 표만 이해한다면, 한 번에 이해 가능하다. 연말정산이란 쉽게 말하면 1. 내 소득 - 소득공제 금액으로 세금액을 정한 뒤, 2. 결정된 세금-세액공제 금액=최종 세금 3. 최종 세금과

happy-soo.tistory.com

 

❌ 연금저축보험의 단점

1. 연금저축펀드보다 수익률이 낮다.

2. 수수료와 사업비가 다소 높다.

3. 중도 해지시 환급금 손실 가능성이 있다. 

 

🔹 추천 대상

- 투자에 익숙하지 않거나 안정성을 중시하는 사람
- 원금 손실을 원치 않는 보수적 투자자
- 일정한 연금액 확보가 중요한 사람

 

표로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을 비교해보자면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연금저축보험 vs 연금보험

 

출처:뱅크샐러드

 

 

가장 큰 차이점은 세제 혜택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3. 연금저축펀드

보통 연금저축하면 떠올리는 가장 흔한 상품이다.

투자상품에 가입해 운용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연금저축 계좌로 국내 주식형, 채권형 등 다양한 상품 중 원하는 곳을 골라 투자할 수 있다.

 

단, 미국 개별주식 종목에는 투자가 불가능하다. (예) 코카콜라, 테슬라 등

 

 연금저축펀드의 장점

1. 다양한 펀드에 투자 가능하므로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

2. 연간 최대 600만 원 납입 시, 세액공제(13.2%~16.5%) 혜택

    (추후 연금 수령 시에 수익 부분을 저율과세로 세금을 내기는 한다.)

 

👍만약 600만원으로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이 부족하다면?

IRP 상품과 함께 운용하면 좋다!


3. 운용 방식과 자산을 스스로 선택 가능하다.

4. 중간에 해지하지 않고 인출이 가능하다. (세금을 떼고)

 

❌ 연금저축펀드의 단점

1. 원금 손실 위험 있음 (투자 성과에 따라 달라짐)
2. 적극적인 운용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3. 중간에 해지시 16.5%의 기타소득세를 내야한다.

 

🔹 추천 대상

-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고 투자 경험이 있는 사람
- 노후 대비+ 세액공제 혜택을 동시에 받고 싶은 사람
- 장기 투자가 가능하며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사람

 

  4. IRP

개인형퇴직연금제도의 약자로 퇴직금과 개인부담금을 넣어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 계좌이다.

 

✅ IRP의 장점

1. 연간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연금저축과 합산)
2. 다양한 자산 운용 가능 (펀드 외에도 예금, 보험도 가능)
3. 퇴직금 + 개인 납입금 합산 운용 가능

 

❌ IRP의 단점

1. 중도 인출 제한 (특정 사유 외에는 불가능)
2. 위험한 상품에 70%까지만 투자 가능(레버리지ETF,인버스ETF 등 불가능)
3. 수수료 발생

 

🔹 추천 대상

- 원리금 보장상품이나 배당을 원하는 보수적인 투자자
- 세액공제 한도를 더 높이고 싶은 사람 (연금저축 + IRP 병행)
- 장기 투자에 관심 있고 노후 대비에 집중하는 사람

 

연금저축펀드 vs IRP

  연금저축펀드 IRP
가입 대상 누구나 소득이 있는 사람(근로소득자, 자영업자)
세액공제 한도 600만원 900만원
투자 가능 상품 ETF, 리츠, 펀드 ETF, 리츠, 펀드+정기예금, 채권 등
위험자산 투자한도 없음 70%까지 가능

 

 

✔ 참고사항

1. 연금저축+IRP는 합쳐서 한 사람당 1800만원까지만 납입이 가능함.

 

출처:박곰희 TV

 

 

2. 연금수령은 만 55세 이상, 가입 후 5년이 지난 시점부터 수령이 가능하다.

댓글